세계 6번째 남극 내륙기지 건설…차세대 쇄빙연구선 건조남북극 포괄 극지활동 첫 법정계획 수립…극지선도국가 향해 ‘첫발’
|
◆ 남북극 미지 영역 탐사 확대
해수부는 새로운 인프라를 구축해 그동안 진입하기 어려웠던 미지의 영역에 대한 탐사를 확대한다.
남극 내륙을 탐사하기 위해서는 빙하가 갈라져서 생기는 틈인 ‘크레바스’를 피해가야 하는 등 국제적으로도 달성하기 어려운 고난도의 탐사기술이 필요하다. 현재 내륙에 기지를 보유하고 있는 미국, 러시아, 일본, 프랑스+이탈리아, 중국 등 6개국만이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해수부는 2027년까지 내륙연구 최적 거점을 기지 후보지로 선정하고 이후 본격 건설을 추진해 2030년까지 남극 내륙에 세계 6번째로 기지를 건설한다는 계획이다.
최적 거점을 찾아 나서면서 100만 년 전의 공기가 그대로 담겨진 3000m 깊이의 심부빙하 시추도 도전한다.
빙하의 2000m 아래에 있는 호수(빙저호)를 시추해 목성의 위성인 유로파와 유사한 환경(암흑·저영양·고압상태)에서 수백~수천 만 년 동안 고립된 상태로 생존한 미생물의 존재를 탐색할 수 있게 된다. 빙저호 시추는 세계 최초로 호수를 오염시키지 않는 청정 기술로 이뤄질 예정이다.
2026년까지 1만 5000톤급의 제2쇄빙연구선인 차세대 쇄빙연구선도 건조한다. 세계 최고 수준의 쇄빙능력(1.5m/3노트)을 보유하게 됨으로써 기존 쇄빙연구선 아라온호로 진입하기 어려웠던 북위 80도 이상의 고위도 북극해까지 진출할 수 있을 전망이다.
고위도 북극해에서는 기후변화 대응에 필수적인 해빙 현장 관측, 북극해 공해상의 수산자원 모니터링 등의 연구가 가능하다. 해수부는 차세대 쇄빙연구선을 기반으로 2027년부터 아시아 최초로 북극해 국제 공동연구를 주도한다는 구상이다.
◆ 기후·환경 문제 해결 주도
해수부는 기후변화의 최전선인 극지의 환경 변화를 관측하고 이같은 변화가 전 지구적으로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밝혀 기후위기 시대의 인류 미래 예측에 나선다.
북극에서의 해빙 변화가 한반도의 겨울에 한파를 일으킨다는 것은 이미 알려져 있으나 여기에서 더 나아가 기존 모델을 발전시켜 북극의 변화가 한국의 사계절에 미치는 영향을 밝힌다.
또 전 지구 해수면 상승의 주요 원인 중 하나로 지목되는 남극 빙하가 녹는 원인을 밝히고 미래 해수면 상승을 예측한다.
국제적인 네트워크를 바탕으로 연구범위를 모든 남극 빙하로 확장해 2030년, 2050년, 2100년의 해수면 상승 예측 시나리오도 제시한다.
◆ 국가 경제 기여 극지산업 기반 마련
극한지에 특화된 신기술 개발이 활발이 이뤄지고 있는 상황 속에서 한국도 미래에 대두될 신산업에 대비한다.
우선 극한지 신기술을 개발하고 이를 바탕으로 북극항로 운항 경쟁력을 확보해 나간다. 대표적으로 북극에서 컨테이너 운송이 가능한 ‘친환경 쇄빙컨테이너선’을 개발해 한국 선사들이 북극 항로에서 안전하게 운송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한다는 계획이다.
남북극의 극저온과 강풍 등 극한 환경을 극복하는 통신 기술과 무인이동체, 건설기술(모듈러 등)도 개발한다. 이같은 기술들은 향후 우주나 심해 등 다른 극한지를 탐사하는 기술로 파급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극지의 수산·생명자원도 확보한다. 23일부터 인천에서 열리는 제1차 당사국총회의 ‘중앙 북극해 공해상 비규제어업 방지협정’을 주도해 북극해 수산자원을 보호하면서 지속가능한 어업이 가능하도록 할 계획이다.
극한 환경에서 생존한 극지 생물자원을 활용해 항생제와 치매치료제, 항균·면역조절물질 등의 신규 의약물질 개발도 추진한다.
◆ 다원적 국내외 협력생태계 조성
해수부는 극지와 관련된 다양한 이슈에 체계적 대응을 위해 외교부 등 관계부처와 지자체 등이 참여하는 ‘범정부 극지정책 협의체’를 구축한다.
국제적으로는 북극권 8개 국가와 맞춤형 협력사업을 발굴해 추진함으로써 북극이사회 옵서버 국가로서 영향력을 확대한다.
북극과학장관회의, 남극조약협의당사국회의 등 주요 국제회의를 한국에서 개최하는 것을 추진해 극지 거버넌스의 의제를 주도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한다는 구상이다.
올해 7번째를 맞이하는 북극협력주간도 확대·개편해 노르웨이의 북극프런티어, 아이슬란드의 북극써클과 함께 세계 3대 북극포럼의 위상을 확보해 나간다.
2024년부터는 남극 관련 국내외 전문가들이 교류할 수 있는 플랫폼으로 남극포럼을 신설할 예정이다.
◆ 참여·소통 극지활동 강화
해수부는 극지에 접근하기 어려운 민간의 극지연구 수요에 충분히 대응할 수 있도록 극지 인프라를 민간과 공유하기로 했다. 내년까지 국내에 극지와 유사한 환경을 재현한 연구·실험 시설을 구축해 산업체·연구기관 등에 실험과 장비 활용을 지원한다.
또 차세대 쇄빙연구선 건조에 따라 두 척의 쇄빙연구선을 보유하게 되면 민간에서 참여할 수 있는 공모 과제를 늘려 인프라의 공동활용도 확대할 계획이다.
극지 장학사업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통해 과학연구·운항·국제협력 분야별 맞춤형 인재 양성도 추진한다. 국민들에게 극지가 더 가깝게 다가갈 수 있도록 어린이·청소년 대상 극지 교육을 강화하면서 극지축제와 같은 참여형 행사도 실시할 예정이다.
조승환 해수부 장관은 “정부는 오늘 발표한 기본계획을 차질 없이 이행해 기후변화에 대응하고 새로운 첨단 기술을 개발할 수 있는 열쇠를 찾아 나설 것”이라며 “대한민국이 인류의 미래를 밝히는 극지활동의 세계적 선도국가로 자리할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