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내 하수처리수 재이용률 13.6%...전국 평균보다 낮아

이지훈 기자 | 기사입력 2018/01/04 [23:09]

경기도내 하수처리수 재이용률 13.6%...전국 평균보다 낮아

이지훈 기자 | 입력 : 2018/01/04 [23:09]

[모닝투데이=이지훈 기자] 경기도의 공공하수처리수 재이용률은 13.6%로 전국 평균(14.7%)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나 하수처리수 재이용으로 안정적인 물 공급 정책을 추진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경기연구원은 4일 발표한 하수처리수를 이용한 물 부족 해결보고서를 통해 경기도 내 공공하수처리시설은 총 149개소(시설용량 500/일 이상), 시설용량 6,135/일로 시설용량 기준 전국의 24.4%가 경기도에서 운영 중에 있으며, 연간 하수처리량도 총 1,694,199(전국의 24.2%)로 전국에서 가장 많이 발생한다고 밝혔다.

풍부한 하수도 인프라에도 불구하고 경기도의 하수처리수 재이용률은 매년 소폭 상승하여 2015년 총 재이용량이 229,973/년 정도로 재이용률은 전국 평균(14.7%)보다 낮은 13.6%로 나타났다.

경기도의 장외용수 용도별 재이용 비율은 하천 유지용수 76.0%, 장외기타용수 13.7%, 공업용수 8.1%, 농업용수 2.1% 등으로 나타나 장외용수의 대부분이 하천유지용수로 공급되고 있어 하수처리수 재이용률을 높이기 위해서는 용도를 확대해야한다고 지적했다.

경기도 내 농업 종사자(논농사를 짓는 농민) 58명과 제조업 종사자(제조공장에 종사하는 관리직급) 51명을 대상으로 201711월 현장 방문 설문조사를 수행한 결과, 하수처리수 재이용에 대해 알고있다고 응답한 농업 종사자는 31.0%였으며, 제조업 종사자는 78.4%였다.

농업 종사자의 51.7%와 제조업 종사자 64.7%가 하수처리수 재이용 의사가 없다고 응답했으며, 재이용을 원하지 않는 이유로 막연한 불안감때문이라는 응답이 농업 및 제조업에서 각각 90.0%, 87.9%로 나타났다.

농업종사자들은 하수처리수 재이용 시 우려사항으로 수질에 대한 불안감(72.4%)이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냄새 등 심미적 거부감(22.4%), 추가비용 소요(5.2%) 순이었다. 제조업 종사자 또한 수질에 대한 거부감(60.8%)을 가장 많이 꼽았으며, 이어 냄새 등 심미적 거부감(21.6%), 추가비용 소요(15.7%)로 나타나 제조업의 경우 수질뿐만 아니라 재이용 시 시설투자 등에 따라 발생될 것으로 예상되는 추가비용에 대한 부담이 공존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조영무 경기연구원 연구위원은 경기도의 경우 2025년 북부지역을 중심으로 생활공업용수 부족이 예상된다안정적인 물 공급을 위해 하수처리수 재이용을 중심으로 한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물 수요 관리 계획을 수립하고, 관련 제도 마련, 경제적 지원 강화 등을 통해 경기도의 물 복지를 실현 해야 한다고 밝혔다.

조 연구위원은 하수처리수 활성화를 위해 장외용수 재이용수 용도의 다변화 하수처리장 주변여건을 고려한 수요처 개발 수요처 요구에 맞는 수질확보로 재용수의 신뢰도 제고 인프라 구축은 공동처리시설 설치와 민투방식 추진으로 경제성운영효율성 증대 수요처의 비용절감 방안을 마련해 하수처리수 재이용사업 참여 유도 하수처리수 재이용 홍보를 통한 수요처와 시민들의 부정적 인식 개선을 제시했다.

특히 부족한 수자원 확보를 위해 강수량에 절대적으로 의존하는 전통적 취수 방식에서 벗어나 안정적인 용수 공급이 가능하고, 환경친화적인 대체수자원에 대한 관심을 가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 도배방지 이미지

경기도, 관련기사목록
더보기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