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상반기 동안 국내 기능성화장품 중 차외선차단과 두발용 화장품 개발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2일 화장품 연구·개발을 위한 기초자료·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2022년 상반기 기능성화장품 심사(보고) 품목 통계자료’를 공개했다.
이번 자료에 따르면 피부장벽 기능개선 화장품 등 신규 개발이 증가했고, 기능성화장품 전체 품목 중 약 93%가 국내 제조 제품으로 나타났다. 또한 지난해 상반기 대비 품목 수는 2.5% 증가했다.
자외선차단용제품과 염모·탈모완화 등 두발용 제품류 심사(보고) 품목은 지난해 상반기 대비 각각 17.6%, 10.8% 늘어났다. 반면 미백·주름개선 이중기능성 제품과 여드름성 피부 완화 제품은 각각 5.5%, 23.8% 감소했다.
피부장벽의 기능을 회복해 가려움 등의 개선에 도움을 주는 기능개선 화장품은 지난해 식약처가 ‘인체적용시험 가이드라인’을 마련·배포한 후부터 제품개발이 서서히 증가하고 있다.
올해 상반기 기능성화장품 심사 중 국내 제조 품목 수는 8783건, 수입 품목은 664건으로 국내 제조 품목 비중이 93%로 확인됐다.
지난해 상반기 동안 국내 제조 비중은 90.9%, 하반기는 92.9%였다. 올해도 국내 제조 품목 비중은 90% 이상을 이어가고 있다.
상반기 기능성화장품 심사(보고) 품목은 2.5% 증가한 9447건이었다. 심사 품목은 11.9% 줄어든 485건이었지만 보고 품목은 3.5 % 늘어난 8962건으로 나타났다.
기능성 별 심사는 자외선차단이 36.3%로 가장 많았다. 이어 미백·주름개선·자외선차단 삼중기능성 16.7%, 미백·주름개선 이중기능성 15.7%, 염모 8.0% 순이었다.
기능성 별 보고는 미백·주름개선 이중기능성이 36.2%로 가장 높았다. 염모는 15.6%, 미백·주름개선·자외선차단 삼중기능성 12.1%, 주름개선 9.8%, 자외선차단 9.1%, 탈모증상 완화는 9.1%였다.
한편 올해 상반기 심사(보고) 품목 중 단일·이중·삼중기능성 화장품은 각각 52%, 36%, 12%이었다.
단일기능성 제품은 지난해 상반기 대비 유사한 수준이었다. 미백·주름 또는 미백·자외선차단 등 이중기능성 제품은 4%, 미백·주름·자외선차단 삼중기능성 제품은 12% 증가했다.
식약처는 편리하고 다양한 제품을 원하는 소비자의 요구가 증가하고 제품의 고부가가치를 추구하는 업체가 늘어남에 따라 이중·삼중기능성 화장품의 개발과 심사(보고) 품목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이번 통계자료는 식약처 대표 누리집(www.mfds.go.kr)→화장품 정책정보→화장품자료실에서 확인할 수 있다. <저작권자 ⓒ 모닝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
|
인기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