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19혁명 63주년…유공자 31명에 건국포장 수여보훈처, 부산고 등 주요학교 조사·자료수집해 발굴
|
학교별로 살펴보면 부산고 11명, 대전상고 6명, 대구 청구대 4명, 춘천농대 2명 등이다. 전체 포상자 가운데 생존자는 17명, 여성은 3명이다.
11명이 포상을 수여 받게 되는 부산고는 1960년 3월 17일부터 10여 차례에 걸쳐 시위 규모와 방법, 호소문과 결의문 등을 구체적으로 계획했다. 부산지역의 여러 고등학교와 연락체계를 갖춰 3월 24일 동부산경찰서부터 경남여고, 범일동 삼일극장을 거쳐 영주동 파출소까지 경찰과 충돌하며 시위행진을 주도했다.
대전상고(6명)는 1960년 3월 9일, 독재정권의 부정·부패와 불법적 인권유린에 항거하기 위해 대전지역 연대 시위 참가를 계획하다 경찰의 저지로 연행·구속됐다. 3월 10일엔 구속 학생 석방을 외치며 시위를 벌이기도 했다.
대구 청구대(4명)는 1960년 4월 19일 3·15부정선거 및 자유당 정권 규탄 야간 시위를 전개하다 일부 학생들이 대구경찰서에 연행되어 구타당했고 여학생들은 실신하기도 했다.
춘천농대(2명)는 1960년 4월 25일 부정선거 규탄시위를 계획하고 춘천 시내 고교생들과 함께 도청 앞까지 시가행진한 뒤 연좌시위를 벌였다.
이번 포상에는 김주열 열사의 모친인 권찬주 여사와 최형우 전 의원도 포함됐다.
권찬주 여사는 3·15의거 이후 아들의 죽음을 은폐하려는 권력기관의 부당한 행위에 항거함으로써 4·19혁명 확산에 기여한 공적이 인정됐다.
최형우 전 의원은 동국대 재학 중 부정선거 규탄시위를 계획하고 동국대의 경무대 진출 시위 당시 학생시위대의 선봉에서 시위를 주도한 공적으로 포상을 수여받는다.
이번 4·19혁명 제63주년을 맞아 이뤄지는 31명에 대한 포상을 포함해 지금까지 정부 포상을 받은 4·19혁명유공자는 모두 1164명(희생자 186명, 부상자 363명, 공로자 615명)으로 늘었다.
박민식 보훈처장은 “대한민국의 자유와 정의를 바로 세웠던 4·19혁명과 그 숭고한 정신은 우리의 민주주의가 위기에 놓였을 때 국민이 바로 잡을 수 있음을 보여준 위대한 역사”라며 “4·19혁명에 앞장서신 한 분 한 분이 소외되지 않고 명예를 되찾으실 수 있도록 지속적인 정부 주도의 발굴을 통해 예우하는 일류보훈 실현에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