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건물에너지 총사용량 5.9% 증가…기후변화 영향 등

기준연도(2018년) 대비, 단위면적당 에너지사용량은 4.8% 감소

신지현 기자 | 기사입력 2023/06/01 [08:57]

지난해 건물에너지 총사용량 5.9% 증가…기후변화 영향 등

기준연도(2018년) 대비, 단위면적당 에너지사용량은 4.8% 감소

신지현 기자 | 입력 : 2023/06/01 [08:57]

지난해 전국 모든 건물의 에너지 총사용량이 전년보다 5.9%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국가온실가스 감축목표 기준연도인 2018년과 비교하면 단위면적당 에너지사용량은 4.8% 감소했다.

 

국토교통부는 지난해 건물 에너지 총사용량은 3636만 2000TOE로, 2021년보다 201만 8000TOE(5.9%) 늘었다고 31일 밝혔다.

 

TOE(석유환산톤)는 석유 1톤이 연소할 때 발생하는 열량을 뜻한다.

 

건물 에너지 사용량이 증가한 것은 신축에 따른 건물 연면적이 3.1% 증가했고 기후변화로 냉난방도일(5.4%)이 늘어난 등의 원인으로 분석된다.

 

냉난방도일이란 일평균기온과 기준온도(난방18℃, 냉방24℃)의 차이를 월별로 합산한 값을 말한다.

 

단위 면적당 건물 에너지 총사용량은 전년보다 2.7% 증가한 122kWh/㎡였다. 이는 총사용량 증가율(5.9%)보다는 낮으나 2019년 이후 가장 높은 수치다.

 

기준연도(2018년)와 비교한 단위면적당 에너지사용량은 최종적으로 4.8% 감소한 것으로 분석됐다.

 

온실가스 배출량이 최고점에 달했던 2018년도는 2030 및 2050 국가온실가스 감축목표 설정의 기준연도에 해당한다.

 

  ©



지역별로 살펴보면 건물 에너지 사용량은 경기(77만 6000TOE)에서 가장 많이 늘었고 증가율은 세종(15.2%), 경기(8.5%)에서 높았다.

 

건물 용도별로는 공동주택의 에너지 사용량이 1년 사이 68만 2000TOE 늘어 증가량이 가장 많았다. 증가율은 운동시설(27.9%), 관광휴게시설(25.9%), 수련시설(23.8%) 순으로 높았다.

 

단독주택(2.5%)과 의료시설(3.9%)은 다른 용도의 건물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에너지 사용량 증가율을 기록했다.

 

이정희 국토부 건축정책관은 “매년 발표되는 국가 건물에너지 사용량 추이 및 지역별·용도별 사용경향 분석 등은 건물부문 탄소중립 달성 수준을 파악할 수 있는 중요한 통계자료로 건물에너지 정책수립 방향의 근간이 된다”며 “향후에도 유의미한 통계지표를 적극 발굴, 정책에 반영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 도배방지 이미지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