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원특례시’ 실현, 지방자치법 32년 만에 개정

염태영 시장, “지방자치법 전부개정안은 기초지방정부의 지위와 권한과 지위를 제도화하는 초석될 것”

신지현 기자 | 기사입력 2020/12/09 [17:07]

‘수원특례시’ 실현, 지방자치법 32년 만에 개정

염태영 시장, “지방자치법 전부개정안은 기초지방정부의 지위와 권한과 지위를 제도화하는 초석될 것”

신지현 기자 | 입력 : 2020/12/09 [17:07]

▲ 9일 ‘지방자치법 개정안’이 의결된 국회 본회의장/사진=수원시     © 모닝투데이


[모닝투데이=신지현 기자] 지방자치법 전부개정안이 9일 국회 본회의에서 통과되면서 지방자치법이 32년 만에 개정됐다지방자치법 개정으로 수원시를 비롯한 인구 100만 명 이상 대도시에 특례시’ 명칭이 부여된다.

 

국회는 이날 오후 본회의를 열고인구 100만 명 이상 대도시에 특례시라는 명칭을 부여하는 내용을 담은 지방자치법 전부개정안을 재석 272명 중 찬성 238반대 7기권 27인으로 가결했다.

 

염태영 수원시장은 환영사를 발표하고, “지방자치법 전부개정안은 기초지방정부의 지위와 권한과 지위를 제도화하는 초석이 될 것이라며 우리나라가 시민이 주인이 되는 국가로 거듭날 수 있도록시민과 함께 자치분권을 향해 나아가겠다고 밝혔다.

 

또 “100만 인구 대도시를 특례시로 지정하고 행정수요·국가균형발전·지방소멸위기 등을 고려한 시··구 특례조항을 넣어 각자 몸에 맞는 옷을 입고 다양한 행정을 펼칠 수 있게 된 점도 큰 진전이라고 평가했다.

 

염태영 시장과 백군기 용인시장·이재준 고양시장·허성무 창원시장 등 4개 도시 시장은 공동으로 환영사를 발표하고, “그동안 (광역시급도시 규모에도 불구하고 행·재정적 괴리로 인해 수많은 불편을 감수해 온 시민들에게 더없이 반가운 소식이라며 하지만 앞으로 우리에게는 많은 일이 남아있다고 말했다.

 

이어 특례시 지위에 걸맞은 더 많은 권한을 확보하고우리 지역을 주도적으로 발전시키려면 국회정부광역지방자치단체와 끊임없이 협의를 이어가야 한다며 “1년 준비기간을 거쳐 2022년 1월 특례시가 성공적으로 출범할 수 있도록 시민 여러분의 지지를 부탁드린다고 당부했다.

 

지방자치법 전부개정안에는 인구 100만 명 이상의 도시와 실질적인 행정수요국가균형발전 및 지방소멸위기 등을 고려해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기준과 절차에 따라 행정안전부 장관이 지정하는 도시에 특례시 명칭을 부여한다는 내용이 포함됐다.

 

특례시 지정은 수원시의 숙원이었다인구가 123만 명에 이르는 수원시는 도시 규모는 광역자치단체 급이지만 광역시가 아니라는 이유로 공무원 수·예산 등에서 상대적으로 차별을 받고 있다염태영 시장이 민선 7기 핵심 공약으로 수원특례시 실현을 내건 이유다.

 

2020년 6월 말 기준 수원시 인구는 123만여 명으로 울산광역시(116만여 명)보다 7만 명 많지만 공무원 수는 3515명으로 울산시(소방직 제외)의 63.6%에 불과하다예산 규모는 울산시의 73.2% 수준이다.

 

수원시민들은 기초자치단체 시민이라는 이유로 인구가 더 적은 광역지자체 시민보다 상대적으로 받을 수 있는 혜택이 적었다특례시로 지정되면 이러한 불합리함이 어느 정도 해소될 것으로 기대된다.

 

특례시는 기초자치단체 지위를 유지하면서 광역시급 위상에 걸맞은 행정·재정 자치 권한을 확보하고일반 시와 차별화되는 법적 지위를 부여받는 새로운 지방자치단체 유형이다광역지자체와 기초지자체의 중간 형태라고 볼 수 있다.

 

지방자치법 시행령에 인구 50만 이상 도시의 사무 특례가 규정돼 있지만지방자치단체의 행정적·재정적 능력산업구조의 특성인구 규모에 따른 특성 등을 실질적으로 반영하지 못하는 게 현실이다.

 

특례시로 지정되면 어떤 변화가 생길까지방자치법 개정으로 특례시라는 행정적 명칭만 부여됐기 때문에 앞으로 지방자치법 시행령지방분권법 개정 등으로 특례시에 걸맞은 행정·사무 권한 등을 확보해야 한다.

 

재정분권을 바탕으로 한 자치재정력 강화 인구 규모에 걸맞은 행정서비스 제공 가능 일반 시와 차별화된 특례시 지위·권한 부여 사무이양 등 권한 확대대도시 행정수요 맞춤형 행정서비스 지원 등이 기대된다또 수원의 도시브랜드 가치를 높일 수 있다.

 

수원·창원·고양·용인시는 2018년 8월 인구 100만 대도시 특례 실현을 위한 상생 협약을 체결하고, 9월에는 특례시 추진 공동기획단’ 출범식을 여는 등 적극적으로 협력해왔다.

  • 도배방지 이미지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